대한안과학회 131회 학술대회

 2024년 춘계 항공 및 숙소 사전 예약 배너

학술지

03

Author Jee Taek Kim, M.D.1, Eun Young Kim, M.D.3, Hyeon Il Lee, M.D.1, Yeoun Sook Chun, M.D.1, Gae Young Song, M.D.2, Jae Chan Kim, M.D., Ph.D.1
Place of duty Department of Ophthalmology1,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2, Department of Pathology3 Chung-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Title A Report of Localized Corneal Amyloidosis Secondary to the Trichiasis
Publicationinfo J Korean Ophthalmol Soc 2006 Dec 047(12): 2035-2040.
Key_word Amyloidosis, Cornea, Trichiasis
Full-Text
Abstract Purpose: To report our experience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a localized corneal amyloidosis secondary to trichiasis. Methods: Case 1. A 55-year-old woman visited our clinic due to discomfort of her right eye. Thirty years previously, she received a lower lid blepharoplasty due to lower lid entropion. Biomicroscopy revealed some trichiasis and a 3 mm, grayish-white nodule at the center of the cornea. Case 2. A 30-year-old woman visited our clinic due to chronic irritation of both eyes. Ten and 3 years previously, she received a lower lid blepharoplasty. Biomicroscopy revealed some trichiasis of the right lower lid and a grayish-white, patch-like lesion at the inferior cornea of both eyes. Lamellar keratectomy and amniotic membrane transplantation with careful electrolysis were performed. Results: Hematoxylin and eosin stain revealed a pink, amorphous, hyaline material under the epithelium, and Congo-red stain showed birefringence of the whitish lesion. Electron microscopy revealed multidirectional, fibrillar arrangement. Secondary, localized amyloidosis of the cornea was diagnosed without any systemic involvement. No clues to the origin of the amyloid were foun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By the sixth month after operation, the patients showed favorable vision and no evidence of recurrence. Conclusions: In the identification of a corneal mass, a secondary, localized amyloidosis should be considered, which can be managed successfully.
저 자 김지택1,김은영2,이헌일1,전연숙1,송계용3,김재찬1
소 속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1, 내과학교실2, 병리학교실3
제 목 속눈썹증에 의한 각막 아밀로이드증에 대한 보고
출판정보 대한안과학회 2006 Dec 047(12): 2035-2040.
초 록 목적 : 속눈썹증에 의한 이차성 각막 아밀로이드증의 발생은 매우 드물고 아직 국내에 보고된 바 없어서 이에 대한 진단과 치료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 증례 1. 55세 여자가 우안의 이물감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눈꺼풀 속말림으로 30년 전 하안검 교정술을 받았으며, 내원시 우안에 속눈썹증과 각막 중심에 지름 3 mm의 회백색 결절이 관찰되었다. 증례 2. 30세 여자가 양안의 만성 통증과 이물감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속눈썹증으로 10년전과 3년전 하안검 교정술을 받았던 과거력이 있었다. 내원시 우안의 속눈썹증, 양안의 각막중심하부에 회백색 결절이 관찰되었다. 모근의 전기분해와 함께 각막의 표층절제술과 일시적 양막이식을 시행하였고 조직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Hematoxylin & Eosin (H&E) 염색에서 무정형의 호산성 아밀로이드양 물질이 관찰되었으며, Congo-red 염색에서 이색성 및 복굴절 소견을 전자현미경에서 특징적인 방향성 섬유소배열을 보여, 아밀로이드증으로 확진하였다. 아밀로이드의 전신 침범은 관찰되지 않았고 각막상피와 간질세포에 대한 면역형광염색을 시행하였으나, 아밀로이드의 기원을 밝힐 수는 없었다. 6개월까지 관찰에서 환자의 시력은 양호하게 개선되었고 병변의 재발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각막에 발생한 종괴의 감별에 있어서 이차성 아밀로이드증을 고려하여야 하며, 수술적 방법에 의해 성공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