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안과학회 학술대회 발표 연제 초록
 
OP F-003
Lacrimal drainage system after radioactive iodine therapy
Ulsan University of Medicine, Ulsan University Hospital, Department of Ophthalmology¹, Ulsan University of Medicine, Ulsan University Hospital,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²
Lee Ju-Hyang¹, Park Seol Hoon², Seo Minjung²
목적 : 갑상샘암에서 방사성 요오드 치료 후 안과적 합병증으로 코눈물관 폐쇄가 생길 수 있다. 방사성 요오드 치료 후 코눈물관 폐쇄를 일으킬 수 있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갑상샘암으로 방사성 요오드 절제술을 시행한 이후 2017년 6월부터 2017년 12월 사이에 눈물길신티그라피를 시행한 환자 39명 (76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안과 문진 및 눈물층 높이, 눈물소관 관류술, 눈물층, 눈물의 Break up time, 쉬르머 검사, 세극등현미경 검사를 시행하였다. 방사성 요오드 (I-131) 전신 스캔에서 요오드의 코 축적 (nasal localization) 및 코눈물관 축적 (nasolacrimal localization) 유무를 확인하였다. 대상환자의 방사성 요오드 조사량과 횟수, 치료 후 경과 시점을 함께 조사하였다. 결과 : 평균 치료 용량은 75.6mCi, 방사성 요오드 치료 후 평균 21개월에 조사했다. I-131 전신 스캔 상 65안 (83.3%)에서 방사성 요오드의 코 축적을 보였으며, 8안 (10.3%)에서 코눈물관 축적을 보였다. 눈물흘림 증상이 있는 13안은 증상이 없는 65안에 비해 눈물길신티그라피 상 배출지연이 증가하였다 (53.8% vs. 16.9%, p = 0.01). 하지만 눈물소관 관류시 역류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15.4% vs. 16.9%). I-131 전신 스캔에서 코눈물관 축적을 보인 군이 그렇지 않은 군보다 눈물길신티그라피 상 배출지연이 많았다. (62.5% vs. 18.6%, p = 0.002) 방사성 요오드 치료 용량과 코눈물관 섭취나 눈물흘림 증상은 상관성은 보이지 않았다. 결론 : 갑상샘암 환자에서 방사성 요오드 치료를 할 때, 방사성 요오드 전신스캔에서 코눈물관 축적을 보이는 경우 조기에 눈물길신티그라피에서 배출지연을 보였다. 요오드의 코눈물관 축적을 보이는 환자에서 추후 합병증으로 코눈물관 폐쇄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술전 충분한 설명과 함께 안과 경과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