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안과학회 학술대회 발표 연제 초록
 
CO F-032
Evalua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9 point-of-care test
Department ofophthalmology, Dongsan medical center, School of medicine, Keimyung university
Jae-Hong Ahn, Jong Hwa Jun
목적 : 안구 건조증 진단을 위한 MMP-9 현장 검사 키트의 생화학적 특성에 대해 검증해보고자 한다. 방법 : 서로 다른 3개의 로트 번호(lot number)를 가진 MMP-9 현장 검사 키트(inflammaDry, Quidel)를 이용하여 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test MMP-9의 검출 한계인 40ng/ml를 확인하기 위해 control, 10, 20, 40, 80, 160, 320 ng/ml 농도의 recombinant human MMP-9 시약 (Calbiochem) 10㎕를 실험용 파이펫을 통해 sample detector에 적용하여 검출 양상 양상을 확인하고 10분 경과 후 실체현미경으로 검출 band를 촬영하여 Image J(NIH, Bethesda)로 분석하였다. 또한 검출에 필요한 최소 volume을 확인하기 위해 100 ng/ml농도의 recombinant human MMP-9 시약을 각각 2.5, 5, 10, 20 ㎕로 sample detector에 적용하였다. 결과 : 각각 세개의 다른 로트 번호의 MMP-9 현장검사 키트는 모두 약 40 ng/ml 농도에서 양성을 보였다. 100 ng/ml농도의 recombinant human MMP-9시약은 5 ㎕이하의 시약 volume이하에서 위음성을 나타냈고 10.㎕이상의 volume으로 하였을때 양성 소견을 보여 눈물내 MMP-9의 검출을 위해서는 최소 10㎕이상의 검체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각 농도별로 rhMMP-9을 sample collector에 처리하였을때 농도 상승과 correlation되는 positive band(red band) density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결론 : MMP-9 현장검사 키트는 로트 번호 간 재현성은 우수하였고 약 40 ng/ml농도의 MMP-9 용액을 잘 검출하였다. 현장검사 키트의 Sample collector에 점적 되는 cut-off value이상의 농도인 rhMMP-9의 검출을 위해서는 최소 20 ㎕이상의 검체가 필요하였다.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