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안과학회 학술대회 발표 연제 초록
 
CO F-036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linical factors and the result of MMP-9 point-of-care test in dry eye syndrome
Department of Ophthalmology, Dongsan medical center, School of medicine, Keimyung university
Kyu-Young Shim, Myeong-Jin Son, Dae-Hwan Kwon, Ji-Woong Park, Jong Hwa Jun
목적 : 안구건조증 환자에서 MMP-9 현장 검사의 결과와 여러가지 임상 지표와의 연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 2017년 4월부터 2018년 8월까지 본원에서 MMP-9 현장검사를 시행 받은 19세이상 성인336명 336안을 대상으로 전향적인 연구를 시행하였다.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자세한 현병력, 안과 및 타과적 과거 병력 및 현재 사용 약제를 조사하였다. OSDI/VAS 점수, Schirmer 검사 및 안단층계를 이용한 눈물띠 높이, 눈물띠 면적을 확인하였다. 플루오레신 점적 후 각막 및 결막의 oxford 염색 점수 및 눈물막 파괴 시간, 마이봄샘 분비물의 배출 정도 및 분비물의 탁한 정도를 조사하였고 모든 환자는 우안에 MMP-9 현장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단일 검사자가 세극등 현미경 카메라로 찍어 분석하였다. 결과 : 정상 대조군과 안구건조증 환자를 비교하였을 때 MMP-9 현장 검사에서 양상의 결과를 보인 환자에서 Schirmer 검사가 유의하게 낮게 나왔으며 각막과 결막의 염색 점수는 더 높은 양상을 보였다. 그 외 OSDI/VAS점수, 눈물막 파괴 시간, 마이봄샘 기능 이상을 나타내는 배출용이도와 분비물의 탁한 정도는 MMP-9 현장 검사 결과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안구 건조증 환자에서 MMP-9 현장 검사결과는 각막 및 결막 염색 점수, Schirmer score등과 유의한 연관관계가 있었으나 눈물막 파괴시간, 마이봄선 기능장애와는 유의한 연관관계가 없었다.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