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안과학회 학술대회 발표 연제 초록
 
CO F-024
Comparison of adhesive strength and biocompatibility among suture, fibrin glue, light-activated mussel protein-based bioadhesive(LAMBA) in amniotic membrane transplantation
Department of Ophthalmology, Dong-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1),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2)
Ji Sang Min(1), Longyu Jin(1), Woo Chan Park(1), Seong Woo Maeng(2), Tae Yoon Park(2), Hyung Joon Cha(2)
목적 : 안표면 재건시 필수적인 양막이식 수술을 봉합사를 이용한 봉합, fibrin glue를 이용한 접합과 light-activated mussel protein-based bioadhesive(LAMBA)를 이용한 접합을 시행하여 각각의 경우의 면접착력과 병리 소견을 관찰하여 접합력과 생체적합성을 비교하고, 실제 임상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48마리의 가토를 대상으로 하였고, 상직근의 좌우측에 7x10mm 크기의 결막 결손부를 만든 후 같은 크기의 상피가 제거된 양막을 이식하였다. 양막 이식에 따라 Group A(봉합사를 이용), Group B(Fibrin glue를 이용), Group C(LAMBA을 이용)로 각각 16마리씩 나누었다. 양막 이식 후 1시간, 3일, 10일째에 각각 6마리씩 공막에 이식되어 있는 양막의 면접착력을 측정하였다. 5x7mm의 단면을 가진 아크릴 블록을 양막 이식부위에 순간접착제(Loctite 410)를 이용하여 접착시킨 후 디지털 푸쉬돌 게이지(DS2-N)에 연결하여 면접착력을 측정하였다. 양막 이식 후 3일, 10일에 각각 6마리, 1개월째에 각각 2마리에서 조직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양막 이식 후 1시간째 측정한 면접착력은 group A와 C가 group B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group A와 C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양막 이식 후 3일, 10일에 측정한 면접착력은 group A, group B와 group C에서 통계학적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조직 검사상 초기에는 group A와 group C에서는 group B보다 림프구 등의 염증 세포 침윤 소견이 더 많았으나, 모든 군에서 1개월 후 염증 세포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 LAMBA를 이용한 양막 이식의 면접착력은 fibrin glue를 이용한 양막 이식에 비해 면강하고 봉합사를 이용한 양막 이식과 유의한 차이가 없어 임상에 적용 가능하겠으나, 생체 내 염증에 관한 부분은 향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