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안과학회 학술대회 발표 연제 초록
 
발표일자: 2018년 11월 2일(금) ~ 11월 4(일)
발표번호: P(e-poster)-049
발표장소: 코엑스 컨퍼런스룸 3층 301 A-B
Spectral domain-OCT를 이용한 한국인 건강한 안구 Reference database 연구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
이종하, 장영석, 진선영, 정재훈
목적 : 기존 상용화된 Spectral domain-OCT에 내장된 데이터베이스의 단점인 인종에 따른 차이를 보완하여 한국인에 특화된 Reference database를 만들고자 하였다. 방법 : 전향적, 단일기관에서 2016년 통계청 연령 및 성별 인구비율 자료에 근거하여 임상시험 공고를 통해 모집된 20-85세까지 한국인 건강한 안구 334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구면굴절력이 4.0D이내이고, 난시가 3.0D이내의 굴절이상, 임상적으로 망막, 시신경 질환 등이 없는 안구를 대상으로 하였고, 약시나 매채혼탁이 있는 안구는 제외하였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인증을 득한 HOCT-1F (Huvitz, Anyang, Republic of Korea )의 Optic disc (6 x 6 mm) 및 Macular (9 x 9 mm) 3D scan을 통해 시신경 및 황반부 지표들을 구하였다. 결과 : 전체 208명 334안의 연령별 분포는 20대 (20-29) 66안, 30대 (30-39) 62안, 40대 (40-49) 78안, 50대 (50-59) 60안, 60대 (60-69) 40안, 70대 (70-79) 28안으로 평균 연령은 45.6세였으며, 남자가 158안 (47.3%) 여자가 176안 (52.7%)였다. SD-OCT로 측정한 평균(표준편차) 지표(μm)는 Optic disc 3D scan에서 C/D ratio(면적) 0.37 (0.16), RNFL 102.49 (9.94), Macular 3D scan에서 황반부 277.12 (11.75), 황반오목 183.16 (17.35), 신경절세포복합체 (속얼기층 + 신경절세포층 + 신경섬유층) 104.41 (7.36)이었다. 결론 : 연령대별로 측정한 시신경 및 황반부 각 영역별 두께에 대하여 기술통계량과 정규분포의 단측 Z-score값을 적용하여 1%, 5%, 95% 값을 역치로 설정하고, 한국인 특화된 Reference database를 만들었다. 기존 상용화된 SD-OCT에 내장된 데이터베이스와 비교를 통해 질환 진단의 유용성을 높이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