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안과학회 학술대회 발표 연제 초록
 
외안F-004
마이봄샘 소실과 기능이상에 따른 눈물 지질층 및 눈물막의 안정성 평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부천성모병원 안과 및 시과학교실
김민호, 홍승우, 나호, 강남여, 김만수, 김은철
목적 : 적외선 카메라로 촬영한 마이봄샘 소실 및 눈물 지질층 두께와 마이봄샘염의 임상적 grade에 따른 염증성cytokine 과 antioxidant의 수치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2016년 1월부터 2016년 9월까지 안구건조증을 호소하여 본원에 내원한 총 57명 환자의 57안을 대상으로 세극등현미경 검사 및 셔머검사를 통해 정상, 마이봄샘염, 건성안, 마이봄샘기능부전과 건상안이 동반된 4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을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dropout grade, lipid layer thickness, partial blinking ratio를 측정하였고, 환자의 meibum을 채취한 후 Human Cytokine 14 plex Multiplex Kit을 이용하여 IL-1ß, IL-6, IL-12, TNF-α 수치를 분석하였고 Human AntiOxidant Assay Kit을 이용하여 Catalase, PRX2, SOD2, TRX1 을 분석하였다. 결과 : 마이봄샘기능부전과 건성안이 동반된 군에서 다른 군에 비해 IL-1ß, IL-6, IL-12, TNF-α 의 수치가 높았고 Catalase, PRX2, SOD2, TRX1 수치가 낮았다. 마이봄샘 소실 grade와 마이봄샘염 grade가 4인 환자에서도 grade가 낮은 환자에 비해 IL-1ß, IL-6, IL-12, TNF-α 의 수치가 높았고 Catalase, PRX2, SOD2, TRX1 수치가 낮았다. 결론 : 마이봄샘 기능이상과 안구건조증이 동반된 경우 meibum의 inflammatory cytokine을 증가시키고 antioxidant를 감소시킨다. 마이봄샘기능이상으로 마이봄샘의 염증성 변화와 산화손상이 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