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안과학회 학술대회 발표 연제 초록
 
녹F-027
Broken stick 모델을 이용한 BMO-MRW와 시야감소와의 상관관계 분석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
박건형, 이지웅
목적 : Spectralis OCT로 측정한 BMO-MRW와 험프리 자동시야검사계로 측정한 시야 감소와의 상관관계를 Broken stick 통계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 2015년 1월부터 12월까지 부산대학교 병원을 방문한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후향적 단면 연구이다. 험프리자동시야계로 SITA 24-2 시야검사를 시행한다. 이후 Garway-Heath 섹터별 시야검사 결과 평균치를 얻기 위해, 각점에서 total deviation 값을 un-log 후 각 섹터별로 합하여 평균을 구한 뒤 다시 log를 취하여 데시벨로 전환한다. Heidelberg 사의 Spectralis OCT를 이용하여 시신경유두에 24 개의 방사상 스캔을 한다. 자동적으로 내경계막과 브루크막 경계를 인식하여, Garway-Heath 섹터별로 BMO-MRW 평균치가 구해진다. 섹터별로 시야검사 결과치와 비교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결과 : 159명의 환자가 포함되었으며, 정상군 79명, 녹내장군 80명이었다. 정상군 global BMO-MRW의 평균치는 257.0 µm, 녹내장군에서 164.5 ± 43.0 µm 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시야검사와 BMO-MRW의 산포도는 Broken-stick 통계모델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global 평균치 및 섹터별 평균치 모두에서 Broken stick 모델의 tipping point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존재하였으며, global 평균치에서 정상의 26.1% 이상 BMO-MRW 감소하기 시작하면, 시야검사가 함께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섹터별 평균치는 하비측의 tipping point가 정상의 48.2%로 가장 높았으며, 이측이 정상의 7.1%로 가장 작았다. 결론 : Broken-stick 모델 분석을 통하여 BMO-MRW와 시야감소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tipping point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기능검사인 시야검사는 BMO-MRW로 대표되는 구조적 손상이 상당히 진행될때까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며, 대략 정상에서 26.1% 이상 BMO-MRW가 감소되기 시작하면 시야검사의 급격한 감소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BMO-MRW는 아직 시야감소가 저명하게 나타나기 이전의 초기 녹내장 환자에서 경과관찰 및 치료방침을 세우는 데 유용한 기준이 될 수 있다.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