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안과학회 학술대회 발표 연제 초록
 
녹F-021
허혈쥐 망막에서 Histone Deacetylase의 변화가 신경아교세포 활성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1),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2)
성미선(1), 엄광현(2), 김수진(1), 박상우(1)
목적 : Ischemia-reperfusion (IR) injury 모델 쥐에서 Class I Histone deacetylase (HDAC)인 HDAC 1과 HDAC 2의 변화가 신경아교세포 (glial cell)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Class I 과 Class II HDAC 억제제인 Trichostatin A (TSA) 의 망막신경절세포에 대한 신경보호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HDAC 1과 HDAC 2 adenoviral overexpression을 유도한 쥐와 유도하지 않은 쥐에 각각 IR injury를 유발한 후 GFAP 의 발현을 비교 하였다. Injury model은 C57BL/6J 쥐의 전방에 캐뉼라를 연결하여 100~110mmHg의 안압으로 60분간 노출시켜 유발하였다. 쥐를 다시 안압 상승이 없었던 군 (control), 급성 안압 상승에 노출된 군 (IR injury group), 급성 안압 상승 전 후로 TSA를 처리한 군 (TSA group) 세 군으로 나누어 injury 3일 째 망막을 적출하였고, real-time PCR을 통해 각 군에서 GFAP과 HDAC 1, HDAC2의 발현 정도를 비교하여 보았다. 결과 : Adenoviral intravitreal injection을 통해 HDAC 1 과 HDAC 2의 overexpression을 유도한 후 IR injury를 유발한 쥐에서 IR injury만 유발했던 쥐보다 GFAP의 발현이 더 현저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IR injury 후 신경아교세포의 활성에 HDAC 1과 HDAC 2가 관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시 쥐를 세 개의 군으로 나누어 진행된 실험에서 TSA의 intraperitoneal injection을 통한 Class I HDAC 의 억제는 IR injury 후 GFAP의 발현을 절반 이하로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세 군에서 HDAC 1, HDAC 2 mRNA level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 HDAC inhibitor인 TSA는 IR injury 모델에서 망막신경절 세포에 protective 한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HDAC의 발현 감소에 의한 효과는 아니었으며 활성도 변화에 의한 효과로 추측된다. 추후 HDAC 1과 2의 activity 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