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안과학회 학술대회 발표 연제 초록
 
성형F-018
한국인의 ocular adnexal lymphoma의 임상양상 및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staging의 유용성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안과학교실
서지원, 문해인, 사호석
목적 : primary ocular adnexal lymphoma(OAL)의 임상양상 및 치료결과에 대해 살펴보고, Ann Arbor staging 및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AJCC)의 Tumor-Node-Metastasis(TNM) staging을 통해 두 분류 방법의 비교 및 예후인자로서의 역할을 평가해보고자 한다. 방법 : 2010년 3월부터 2015년 3월까지 primary ocular adnexal lymphoma로 진단받은 87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나이, 성별, 종양의 위치, 조직학적 진단, 치료방법 및 결과 그리고 재발여부를 분석하였으며 모든 환자는 Ann Arbor staging와 TNM staging을 각각 시행하여 각 staging system에 따른 치료 결과 및 예후를 분석하였다. 결과 : 총 87명 환자의 평균연령은 53.1±11.8세이었고, 평균경과기간은 39.9±22.1개월이었다. 진단 시 67명(77%)은 localized OAL이었고, 20명(23%)은 systemic disease 였다. 조직학적 진단은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lymphoma가 82명(94.2%)로 가장 많았다. TNM staging 시 T1 45명, T2 35명, T3 2명, T4 5명이었고, N0 79명, N2 1명, N3 4명, N4 3명, 그리고 M0 71명, M1 16명이었다. Ann Arbor staging 시 IE 66명으로 가장 많았다. 50명에서 방사선치료, 21명에서 항암치료를 시행하였고, 4명은 두 가지 모두 시행하였다. 5명에서는 수술적 절제만 시행하였다. 경과기간 중 2명이 사망하였고, 7명에서 재발하였다. TNM staging이 재발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상대위험비를 산출한 결과, T stage(HR,3.30 p=0.245 T1vs.T2-4), N stage (HR,2.67 p=0.426 N0vs.N1-4), M stage(HR,0.82 p=0.869 M0vs.M1)로 재발예측에 영향이 없음을 나타내었다. Ann Arbor staging 또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HR,2.90 p=0.249, IEvs.II~IVE) 결론 : TNM staging은 기존의 Ann Arbor staging에 비해 localized OAL의 범위를 더 구체적이고 정확히 기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Ann Arbor staging 뿐 아니라 TNM staging을 통해서도 재발여부를 예측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었다.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