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안과학회 학술대회 발표 연제 초록
 
외안F-066
TGFBI 유전자에서 발생한 trans형 복합 돌연변이가 제2형 과립형 각막이상증 환자의 중증 표현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규명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 시기능개발연구소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 각막이상증 연구소
강민재, 지용우, 최승일, 박시윤, 이제훈, 서경률, 김태임, 김응권
목적 : 이형 접합 제2형 과립형 각막이상증 (Granular Corneal Dystrophy Type 2, GCD2) 환자 중에서 중증의 표현형을 보이는 환자의 Transforming growth factor-β-induced (TGFBI) 유전자에서 발견된 trans형 복합 돌연변이를 확인한 바, 이 복합 돌연변이가 환자의 표현형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중증의 GCD2 환자 및 가족구성원의 혈액을 채취하여 TGFBI 유전자 염기서열분석을 하였고, 이학적 정밀진찰 및 전안부 빛간섭단층촬영을 시행하였다. R124H 외 발견된 trans형 복합 돌연변이 유전자를 HEK293 세포에 형질주입한 후 GCD2 세포 배지에 혼합하여 이들 세포들이 만들어 내는 TGFBI단백질의 중합반응을 분석하였다. 결과 : 중증 GCD2환자와 그 가족들을 유전자 및 가계도분석한 결과, TGFBI 유전자에서 R124H 외에 각각 I247N, H174D 가 trans형 복합 돌연변이 형태로 관찰되었다. 세극등사진 및 전안부빛간섭단층촬영한 결과, 이들은 동일연령의 GCD2 환자에 비해 각막침착물이 각막 전부기질에 두껍게 뭉쳐있었다. I247N, H174D 를 형질주입한 HEK293세포를 GCD2세포배지에 각각 혼합하였더니, 둘다 정상 HEK293세포를 GCD2세포배지에 혼합한 것보다 TGFBI단백질 중합체(polymerization)가 더 많이 형성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GCD2 환자에서 TGFBI 유전자의 trans형 복합 돌연변이로 인하여 중증의 표현형이 발생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규명하였다. 임상적으로 혼동을 일으킬 수 있는 중증 표현형의 과립형 각막이상증 환자의 경우 기존에 알려진 단일염기 돌연변이 외에 복합 돌연변이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