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안과학회 학술대회 발표 연제 초록
 
외안F-028
눈물막 기름층의 두께와 마이봄샘 소실정도, 눈물막 파괴시간의 상관관계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1)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2)
정세윤(1), 김계중(1), 이상목(1), 한소영(1), 조범주(1), 신민철(1), 김은철(2), 김만수(2), 황호식(1)
목적 : Tear film interferometer로 측정한 눈물막 기름층의 두께와 마이봄샘 소실정도, 눈물막 파괴시간 (BUT)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방법 : 정상인 93명, 안구건조증 97명, MGD 19명, 쇼그렌 8명, GVHD 8명, 알러지 결막염 9명, 익상편 4명이 모두 238명이 본 연구에 포함되었다. 우안에 대해서 먼저 Hosik tearscope를 이용하여 눈꺼풀을 만지지 않고 눈물막 기름층을 촬영하였다. BUT를 측정하고 적외선 마이보그래피를 시행하였다. Arita의 criteria에 따라 마이봄샘 소실정도 (Meiboscore)를 정하였다. Hosik tearscope로 촬영한 기름층은 color에 따른 기름층의 두께 자료를 이용하여 ImageJ를 이용하여 평균값을 측정하였다. 기름층 두께와 위눈꺼풀과 아래눈꺼풀의 meiboscore 합의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기름층 두께와 BUT의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남자 80명 80안, 여자 158명 158안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나이는 54.3 +/-16.3세였다. 이들의 BUT는 7.0+/-4.4 sec, lipid layer thickness는 54 +/-21 nm, 위눈꺼풀과 아래눈꺼풀의 meiboscore의 합은 1.9 +/-1.6이었다. Lipid layer thickness와 위눈꺼풀과 아래눈꺼풀의 meiboscore의 합은 Pearson 상관계수 0.131 (p=0.566)로 약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lipid layer thickness와 BUT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Pearson 상관계수 -0.116, p=0.081) 결론 : Meibomian gland의 dropout (소실)이 생기면 meibum의 분비가 감소하여 tearfilm lipid layer thickness가 감소하고 그 결과 BUT가 감소할 것이라는 가설은 이번 연구에서는 증명되지 않았다.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