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안과학회 학술대회 발표 연제 초록
 
외안F-032
마이봄샘 영상을 활용한 마이봄샘 기능이상에 의한 건성안의 진단
가톨릭대학교 성의교정 대학원(1), 가톨릭대학교 안과 및 시과학교실(2)
유영식(1), 나경선(2), 주천기(2)
목적 : 광결맞음 단층촬영과 적외선 촬영으로 얻은 마이봄샘의 구조적 정보가 마이봄샘 기능이상에 의한 건성안의 진단에 주는 유용성을 알아본다. 방법 : 본 연구는 전향조절연구로, 건성안을 주소로 서울성모병원에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2차원 적외선 영상에서 마이봄샘의 탈락이 있는 환자는 마이봄샘이 탈락된 부분을 중심으로 3차원 광결맞음 단층촬영 영상을 촬영하여 마이봄샘의 탈락 면적 (Grade 0 ~ III) 과 마이봄샘을 구성하는 acina의 형태 (Grade A; Normal, B; Constricted or Atropic acina, C; No acina)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건성안 진단의 임상적 지표 (쉬르머 점수, 눈물막 파괴시간, 각막염색점수,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와 비교하였다. 결과 : 건성안 증상을 가진 환자 중, 37명의 2차원 적외선 영상에서 마이봄샘의 탈락이 관찰되었다. 21명의 Grade I 군은 3차원 광결맞음 단층촬영 영상에서 Grade I-A (n=5), I-B (n=9), I-C (n=7)의 다양한 형태로 분류되었다. 3차원 영상을 기반으로 한 마이봄샘 acina의 변화에 따른 분류는 건성안 진단의 임상적 지표(쉬르머 점수, 눈물막 파괴시간, 각막염색점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내었고 (p < .05), OSDI와는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p = .21). 2차원 영상에서 마이봄샘의 탈락 면적이 없었던 Grade 0 군과 Grade II 이상의 환자들은 3차원 영상에서 각각 Grade A (8/9, 88.9 %), Grade C (5/7, 71.4 %)의 양상을 나타내었다. 결론 : 마이봄샘의 구조적 정보를 제공하는 3차원 및 2차원 영상에 기반한 새로운 분류법이 마이봄샘 기능이상에 의한 건성안의 진단에서 유용하였다.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