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안과학회 학술대회 발표 연제 초록
 
외안F-009
Hyperosmolar stress에 의한 각막과 결막 상피의 변화 비교
(1)가톨릭대학교 성의교정 시과학연구소, (2)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안과 및 시과학교실, (3)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성모병원
주희정(1), 변용수(1,2,3), 목지원(1), 주천기(1,2,3)
목적 : Hyperosmolarity stress에 의한 각막과 결막의 상피세포 변화를 cytokine 발현, 세포괴사/사멸반응, morphology 및 adhesion molecule의 발현 변화를 통해 비교하였다. 방법 : 본인체각막상피세포주 (SV40-transfected human corneal epithelial cells)와 인체결막상피세포주 (Wong-Kilbourne derivative of Chang human conjunctival cells)가 사용되었다. 각 세포는 starvation이후 각 배양액에 NaCl를 사용하여 400mOsm, 500mOsm 조선에서 24hr 처리하였다. Cytokine 변화는 treatment한 배양액에서 ELISA kit를 통해 측정하였고, flow cytometry와 immunostaining, western blotting으로 cell survival/apoptosis를 조사하였다. Cell morphology와 adherence molecule의 변화는 tight junctions, adherens junctions, cytoskeleton 에 대해 immunofluorescence analysis와 함께 Western Blotting으로 정량 분석하였다. 결과 : Hyperosmolar stress 증가에 따라 각막상피와 결막상피세포의 배양액에서 IL-1, IL-6, TNFalpha가 시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Hyperosmolar stress 증가에 따라 Annexin V/PI와 Western blotting에서 apoptosis markers가 증가하였으고, 이는 결막상피세포에서 두드러진 반면 각막상피세포에서는 미약하였다. Cell의 adherence molecule은 immunocytochemistry와 western blot상에서 각막 및 결막세포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Hyperosmolar stress에 의한 cytokine level, apoptosis, adhesion molecule 및 morphology의 변화는 각막상피세포보다 결막상피세포에서 저명하였다. 결론 : Hyperosmolar stress에 의한 상피세포의 손상과 변화는, 특히 physiologic stress level에서, 각막보다 결막상피에서 저명하였다. 안구건조증에서 hyperosmolar stress에 의한 안구표면 손상과 염증의 발생에서 결막의 역할에 대해더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