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안과학회 학술대회 발표 연제 초록
 
망막F-008
초기 나이관련황반변성에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측정한 명소시력과 박명시력의 재현성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¹,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²
손보권¹, 김응석², 곽형우¹, 유승영¹
목적 : 초기 나이관련황반변성에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측정한 명소시력과 박명시력의 재현성 및 일치도를 평가하고 명소시력과 박명시력의 차이를 정상군과 비교하였다. 방법 : 총 41안 중 초기 나이관련황반변성안 20안, 정상안 21안을 대상으로 명소시력과 박명시력을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SightBookTM, DigiSight Technolgies, Portola Valley, CA)을 이용한 시력측정법(Smartphone-Based Electronic Visual Acuity (SEVA) testing)을 통해 측정 후 Bland‐Altman 분석 및 급내상관계수를 이용하여 재현성를 평가하였다. 이 측정값을 ETDRS 차트와 LEA 근거리 차트를 이용하여 측정한 명소시력 및 박명시력과 비교하여 그 일치도를 평가하였다. 그리고 SEVA로 측정한 명소시력과 박명시력의 차이를 두 군간 비교해 보았다. 결과 : SEVA를 통해 측정한 명소시력과 박명시력의 급내상관계수는 초기 나이관련황반변성군에서 0.874 0.859, 정상군에서 0.925 0.874로 높은 재검사 신뢰도를 보였다. SEVA와 ETDRS 차트로 측정한 원거리 명소시력과 박명시력은 높은 일치도를 보였고(r=0.866,0.806 of initial test; r=0.842,0.816 of repeated test) LEA 차트로 측정한 근거리 명소시력과 박명시력 역시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r=0.817,0.835 of initial test; r=0.873,0.830 of repeated test) SEVA로 측정한 명소시력과 박명시력의 차이는 초기 나이관련황반변성군에서 0.45±0.06 으로 정상군의 0.30±0.07 보다 유의하게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01). 결론 :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측정한 명소시력 및 박명시력을 측정한 결과 높은 재검사 신뢰도를 보였고 ETDRS 차트 및 LEA 근거리 차트를 이용하여 측정한 원거리 명소시력 및 박명시력과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 또한 명소시력과 박명시력의 차이는 초기 나이관련황반변성군에서 정상군과 비교시 유의하게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