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안과학회 학술대회 발표 연제 초록
 
성형F-018
눈물샘 샘낭암종에서 자가포식현상(autophagy)과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관련 단백질들의 발현 양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 시기능개발연구소(1)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2)
김지원(1), 구자승(2), 윤진숙(1)
목적 : 눈물샘 샘낭암종에서 자가포식현상(autophagy)과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관련 단백질들의 발현이 눈물샘 샘낭암종(adenoid cystic carcinoma)의 임상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방법 : 눈물샘 샘낭암종으로 진단받은 환자군(n=11)과 침샘 샘낭암종으로 진단받은 대조군(n=64)의 병리 파라핀 고정 조직을 이용하였다. 면역화학염색법을 이용하여 자가포식현상 관련 단백질[beclin-1, light chain (LC) 3A, LC3B, p62 and BNIP3]과 활성산소 관련 단백질[catalase, thioredoxin reductase (TxNR), glutathione S-transferase pi (GSTpi), thioredoxin interacting protein (TxNIP), manganese superoxide dismutase (MnSOD)]의 발현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고, 무병생존율(disease-free survival)과 전체생존율(overall survival) 관련 예후인자를 log-rank tests를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결과 : 간질세포의 GSTpi는 눈물샘 샘낭암종에서 더 높게 발현되었으나(p=0.006), 상피세포의 MnSOD는 침샘 샘낭암종에서 더 높게 발현되는 양상을 보였다(p=0.046). 상피세포에서 LC3B와 BNIP3 positivity가 짧은 무병생존율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both p=0.002),간질세포에서 LC3A positivity가 짧은 전체생존율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5). 결론 : 눈물샘 샘낭암종에서의 자가포식현상과 활성산소 관련 단백질들의 발현 양상을 침샘 샘낭암종과 비교하여 분석한 첫 번째 연구로, 현재까지 임상적으로 효과적인 항암제가 없는 눈물샘 샘낭암종에서 자가포식현상과 활성산소 기전을 치료 표적으로 새로운 약물 개발의 기초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