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안과학회 학술대회 발표 연제 초록
 
망막F-036
장액성 망막박리가 분광영역 빛간섭단층촬영기를 통한 신경절세포층 복합체 두께 분석에 미치는 영향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1,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안과학교실2
남기엽1, 김정열2
목적 : 중심성장액석맥락망막병증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CSC) 환자를 대상으로 장액성 망막박리가 분광영역 빛간섭단층촬영기 (spectral 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D-OCT)를 이용한 신경절세포층 복합체 분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2012년 1월부터 2013년 8월까지 초발성 CSC로 내원한 환자 30명에서 SD-OCT (Cirrus, Carl Zeiss Meditec, Dublin, CA, USA)를 통해 얻은 신경절세포층-내망상층 (ganglion cell layer-inner plexiform layer, GCL-IPL) 분석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병변안에서 초진 시 및 망막하액 흡수 후의 평균 GCL-IPL 두께와 구획별 두께를 비교하였으며 이를 건안의 측정치와 비교하였다. 결과 : 초진 시 및 망막하액 흡수 후 평균 GCL-IPL 두께는 66.2 (±17.1) µm, 81.3 (±8.9) µm 으로 측정되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01). 건안의 측정치와 비교 시 초진 시의 평균 GCL-IPL 두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얇았으나 (p<0.001) 망막하액 흡수 후에는 건안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섹터별로 신경절세포층의 두께를 확인하였을 때 망막 상승 부위의 반대편의 두께가 얇게 측정되는 경향을 보였다. 중심망막두께가 두꺼울수록, 망막상승의 각도가 클수록, 망막상승의 중심부와 경계부 사이의 길이가 길수록 평균 GCL-IPL 두께가 더 얇게 측정되었다. 결론 : CSC에서 SD-OCT를 이용한 GCL complex분석 결과, 평균 GCL-IPL두께가 실제보다 더 얇게 측정되었으며, 특히 상승된 망막 부위의 반대편이 얇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경우 SD-OCT를 이용한 GCL complex 분석 시 측정 값 오류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하겠다.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