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안과학회 학술대회 발표 연제 초록
 
외안F-019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각막섬유모세포에서 tranilast가 TGFBIp의 발현에 끼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 각막이상증 연구소
이훈, 한영인, 황혜정, 이형근, 서경률, 김응권, 김태임
목적 : Wild-type과 homozygous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각막섬유모세포를 이용해서 tranilast가 TGFBIp의 발현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각막섬유모세포를 이용해서 tranilast가 cell proliferation과 cytotoxicity를 유발하는지 분석했다. 이어서 Western blotting과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에 대한 분석을 통해, tranilast가 TGFBIp와 TGFBI mRNA에 끼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우선적으로, TGF-β가 wild-type과 homozygous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각막섬유모세포의 TGFBIp와 TGFBI mRNA level을 변화시키는지 분석했고, tranilast와의 co-treatment를 통해 tranilast의 역할을 분석했다. 아울러 tranilast가 phosphorylated Smad2 (pSmad2), pSmad3, wound-healing, type-I collagen, integrin α, integrin β 의 발현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결과 : 고농도의 tranilast는 cell proliferation를 감소시켰지만, cytotoxicity는 유발하지 않았다. TGF-β는 예상대로 wild-type과 homozygous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각막섬유모세포에서 TGFBIp와 TGFBI mRNA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Tranilast와 co-treatment를 시행한 경우, TGFBIp와 TGFBI mRNA는 유의하게 감소했다. 아울러, tranilast는 wild-type과 homozygous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각막섬유모세포에서 pSmad2를 감소시켰으며, homozygous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각막섬유모세포에서는 pSmad3만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Tranilast로 인해 wound-healing이 지연되었고, type-I collagen, integrin α, integrin β 의 발현이 감소했다 결론 : Wild-type과 homozygous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각막섬유모세포를 이용한 연구에서, tranilast는 TGF-β signaling 을 억제함으로서 TGFBIp 의 발현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따라서 TGFBI 관련 각막 이상증에서 tranilast는 각막혼탁의 발생을 지연 또는 억제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