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안과학회 제109회 학술대회 발표 연제 초록
 
발표일자: 2013년 04월 20일 (토)
발표시간: 10:00~10:06
발표번호: 성형F-009
발표장소: C방
Surgical outcome of endoscopic dacryocystorhinostomy combined with canaliculus trephination in patients with canaliculus obstruction or stenosis.
건양의대 김안과병원 안과학교실, 명곡안연구소
한상윤, 박태성, 최혜선, 김성주, 장재우, 장선영
목적 : Endoscopic dacryocystorhinostomy (DCR) 시행 시에 눈물소관 또는 공통눈물소관의 폐쇄 또는 협착이 발견되어 lacrimal trephine을 이용한 trephination을 시행하였던 경우의 수술 성공률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2010년 2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시행된 Endoscopic DCR 환자 중에서 수술 도중 눈물소관 또는 공통눈물소관의 폐쇄 또는 협착이 발견되어 lacrimal trephine을 이용하여 trephination을 시행하였던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수술 성공률, 술자에 따른 수술 성공률 차이, 삽입된 silicone tube의 개수에 따른 수술 성공률의 차이를 조사하였으며, 수술 시행 전 촬영한 Dacryocystogram (DCG)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수술 도중 관찰된 눈물소관의 이상과 소견이 일치하는 지를 분석하였다. 결과 : 총 57명 59안 (남성 10명, 여성 47명, 평균나이 54.2세) 을 대상으로 했다. 술 후 3개월 후의 기능적 성공률은 약 85%였고, 관류검사에 의한 해부학적인 성공률은 약 88% 였다. 술자에 따른 수술 성공률차이는 수술 후 1주, 1달, 3달엔 술자 간 차이가 없었고, 6개월 후 교수와 전임의 사이에 성공률이 차이가 관찰되었다 (해부학적 성공률 93.1%, 62.5%, respectively p=0.025). silicone tube의 갯수에 따른 수술 성공률의 차이는 없었다 (p >0.05). 수술 전 dacryocystogram에서 눈물소관의 이상을 발견하지 못한 경우는 23.7% (14안/59안) 였고, 수술 도중 관찰된 눈물소관의 이상과 일치하는 경우는 40.7% (24안/29안) 에서 관찰되었결론 : Endoscopic DCR 시행 시에 눈물소관 또는 공통눈물소관의 폐쇄 또는 협착이 발견되어 눈물소관의 trephination을 시행하였던 경우의 수술 성공률은 약 85% 이며, 술 자간의 수술 성공률의 차이가 관찰된다.